(1) 서비스 공격 유형
1. DoS 공격
1) DoS (Denial of Service) 공격의 개념
- 시스템을 악의적으로 공격해 해당 시스템의 자원을 부족하게 하여 원래 의도된 용도로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공격
- 특정 서버에 수많은 접속 시도를 만들어 다른 이용자가 정상적으로 서비스를 이요하지 못하게 하거나, 서버의 TCP 연결을 소진 시킴
2) DoS 공격의 종류
- 지역 시스템 공격, 원격 네트워크 공격
2. DDoS 공격
1) DDoS (Distributed Dos) 공격 개념
- DoS의 또다른 형태로 여러대의 공격자를 분산 배치하여 동시에 동작하게 함으로서 특정 사이트를 공격 하는 기법
- 취약한 인터넷 시스템에 대한 액세스가 이루어지면 침입한 시스템에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이를 실행시켜 원격에서 공격을 개시한다
2) DDoS 공격 요소
- 핸들러, 에이전트, 마스터, 공격자, 데몬 프로그램
3) DDoS 대응 방안
- 차단 정책 업데이트, 좀비PC IP 확보, 보안 솔루션 운영, 홈페이지 보안 관리, 시스템 패치
3. 자원 고갈 공격
- 서버 간 핸드세이크를 통해 통신이 연결되는 정상 트래픽과 달리 DoS공격은 정상 접속을 시도하는 오픈된 소켓에 트래픽을 집중
- SYN 플러딩, UDP 플러딩, 스머프, PoD
4. 애플리케이션 공격
- HTTP GET 플러딩, Slowloris, RUDY
5. 네트워크 서비스 공격
- 네트워크 스캐너, 패스워드 크래킹, IP 스푸핑, 트로이목마
(2) 서버 인증
1. 서버 인증의 개념
- 다중 사용자 시스템과 망 운영 시스템에서 접속자의 로그인 정보를 확인하는 보안 절차
(3) 서버 접근 통제
1. 서버 접근 통제의 개념
- 사람 또는 프로세스가 서버 내 파일에 읽기, 쓰기, 실행 등의 접근 여부를 허가하거나 거부하는 기능
2. 서버 접근 통제의 목적
- 기밀성, 무결성, 가용성 보장
- 식별, 인증, 권한부여의 기법이 적용됨
3. 서버 접근 통제의 유형
- 임의적 접근 통제, 강제적 접근 통제, 역할기반 접근통제
(4) 보안 아키텍쳐
1. 보안 아키텍쳐의 개념
- 정보자산의 기밀성, 무결성, 가용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관리적, 물리적, 기술적 보안 영역의 구성요소와 관계를 구체화한 청사진
2. 보안 아키텍처의 효과
- 종합적 보안 개념 수립, 보안 관리 능력 향상, 일관된 보안 수준 유지
(5) 보안 프레임 워크
1. 보안 프레임 워크의 개념
- 기업 업무의 연속성을 위한 네트웤, 시스템 등의 주요 인프라에 대한 위험 요인을 사전에 분석하여 예방하고는 기술적 요인
'정보처리기사 > V. 정보시스템 구축관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V. 정보시스템 구축관리 - 시스템 보안 구축 (2) (0) | 2021.05.12 |
---|---|
V. 정보시스템 구축관리 -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구축 (1) (0) | 2021.05.12 |
V. 정보시스템 구축관리 - IT 프로젝트 정보시스템 구축관리 (4) (0) | 2021.05.12 |
V. 정보시스템 구축관리 - IT 프로젝트 정보시스템 구축관리 (3) (0) | 2021.05.12 |
V. 정보시스템 구축 관리 - IT프로젝트 정보시스템 구축관리 (2) (0) | 2021.05.1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