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계정명 ihd/ 경로 ~ 임을 보와 ihd의 계정의 home 디렉토리지 않을까
pwd 값은 /home/ihd 일 것이고 back quotes로 실행 해보자

* pwd 현재 디렉토리 경로를 나타내는 명령어.

test 명령어란?

파일 체크 그리고 값을 비교하는 명령어라고 man에 기술되어있다.
그렇다면 -gt 옵션은 무엇을 나타낼까?

정수1과 정수 2를 비교, 정수1이 정수 2보다 큰지 비교(정수 1이크면 0 정수 1이 작으면 1)
(gt -> greater than 이라 gt인가?)
테스트 결과


여러개 있으니 man 참고


1. fork

2. exec : 실행의 의미.
주로 find 명령어로 ls -l 또는 rm -f 를 사용하곤 했다..



파일명이 *.log에 부합하는 파일명을 전부 삭제시킴
3. init 0 종료 init 6 재부팅 ( 추가 확인 필요 )
4. systemd : init 과 같이 system and service manager 이다. 요것도 확인 필요.

1. SIGINT : 2번
2. SIGKILL : 9번
3. SIGSTOP : 19번
4. SIGQUIT : 3번
30개정도인데 다 외워야하나 ?

1. bg : ctrl + z로 백그라운드에 멈춰진 프로세스(suspend상태) 프로세스를 실행 시키는 명령어. 다시 백그라운드로 수행.
2. fg : 백그라운드로 실행중인 프로세스를 포그라운드로 실행시키거나 suspend 상태의 프로세스를 포그라운드로 수행.
3. jobs : 백그라운드로 수행중인 프로세스 확인
4. nohup : 백그라운드로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

OSI 7계층을 확인하자
전송 계층 : Segments -> port
네트워크 계층 : Packets -> ip
데이터링크 계층 : Frames -> mac

1. ICANN : 국제인터넷주소관리기구
2. IANA : 인터넷 할당 번호 관리 기관, IP주소, 최상위 도메인을 관리하는 단체이며 현재 ICANN이 관리중
3. IEEE: 전기전자공학자 협회
4. ISO : 국제 표준화 기구
5. ANSI : 미국 국가표준 협회

192.168.3.150/26 은 255.255.255.192의 서브넷 마스크를 가지며 AND 조건으로 연산 하였을 시
192.168.3.128~192.168.3.255 사이의 값을 가지게 된다.

ARP : Address Resolution Protocol의 약자로 동일 네트워크 내에 존재하는 호스트들의 ip주소와 MAC 주소 확인 하는 명령어

ethtool : 네트워크 인터페이시ㅡ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명령어

ss : socket statistics 명령어로 netstat와 비슷한 명령어이다.
mii-tool : 랜카드의 속도, duplex모드, 연결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