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eering
- 양쪽에서 연결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일방적이지가 않다. 양 리전에서 반응을 해야 하는 것.
- 한쪽에서 피어링 요청을 보내면 반대쪽 리전에서 그에 맞게 응답을 하면 된다.
런던 VPC 생성
- 우리는 서울 - 런던 두 개의 리전간 피어링을 진행할 것이다.
- VPC가 생성되어 있는 서울 리전에서 런던 리전연결
- 런던 리전 이동 후 VPC마법사를 통해 VPC 생성
# VPC이름 : tutorial-VPC-London
# 런던의 VPC ID를 기억하자.
서울 리전에서 VPC 피어링 요청
- VPC 에서 피어링요청 클릭 후 피어링 연결 생성
# 런던에서 생성한 VPC의 아이디를 기입해야한다. 이후 피어링 연결 생성
서울 리전에서 피어링 정보 확인
런던 리전에서 피어링 정보 확인
- 작업 클릭 후 요청 수락 클릭
- 런던과 서울에서 피어링 활성이 된 것을 볼 수 있다.
# 이후 서울과 런던에서 인스턴스를 생성한다
서울에서 인스턴스 생성
런던에서 인스턴스 생성
- 런던에서는 인스턴스 생성이 처음이기 때문에 키를 새로 생성해야한다
서울리전과 런던 리전간 통신
- 런던 인스턴스에 접속하여 서울 인스턴스에 접속해본다
# 피어링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연결이 되지 않는다. 그 이유는 무엇일까?
# 피어링이 되었더라도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연결중이기 때문이다.
# 그렇기 때문에 피어링을 하더라도 라우팅 테이블 설정을 해 주어야 한다.
리전간 통신을 위한 라우팅 테이블 설정
- 런던 라우팅 테이블을 설정하자
# 10.0.0.0 간의 통신은 없으므로 라우팅을 편집해주자
# 해당 과정을 서울에서도 하면 된다.
- 서울 라우팅 테이블 편집
# 서울 리전에서 런던 리전에 통신이 된다.
# 그러나 핑은 되지 않는다. 이건 보안그룹 설정에서 PING을 허용하면 된다.
'DevOps > 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AWS] AWS 데이터베이스 실습 - MySQL Workbench 연결 (0) | 2021.09.02 |
---|---|
[AWS] Amazon RDS (0) | 2021.09.02 |
[AWS] VPC 구성 : 마법사를 통해 생성하기 (0) | 2021.09.01 |
[AWS] VPC 구성 : NAT 구성 (0) | 2021.09.01 |
[AWS] VPC 구성 : Private Subnet (0) | 2021.09.0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