컴퓨팅 서비스
- Amazon EC2
- Elastic Compute Cloud
- 다양한 사양의 가상화 서버를 선택하여 사용량 만큼 비용을 지불하는 서비스
- Amazon Auto Scaling
- 특정 조건에 따라 서버를 추가/삭제 # 조건에 따라서 서버를 늘리거나 줄이거나
- Amazon Lightsail # 간단하게 블로그같은 서버를 구성하려고 할때 쓴다. 비용적 ,간단함
- 가상 사설 서버 (Virtual private server)
- 간단한 웹 서버 운영시 사용
- Amazon WorkSpaces
- 사내PC를 가상화로 구성하여 개인 PC에 데이터를 보관하지 않고 서버에서 보관 관리 서비스
네트워킹 서비스
- Amazon Rout 53
- 클라우드 기반의 DNS 웹 서비스로, 사용자의 요청을 AWS에서 실행되는 다양한 인프라에 효과적 연결
- 사용자를 AWS 외부의 인프라로 전달하는 서비스도 Route 53
- Amazon VPC(Virtual Private Cloud)
- 가상 네트워크 인프라를 클라우드 내에 생성/구성.
- 네트워크를 이용한 접근제어, DHCP, VPN 연결, 게이트웨이등 서비스 제공
- 타 VPC와 다른 리전 간 VPC Peering 구성을 통해 보안성 및 안전성이 높음
- AWS Direct Connect
- 기존 On-Premise 인프라와 AWS를 연결하는 전용선 구성하여 낮은 지연 시간으로 데이터 및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
- Amazon ELB(Elastic Load Balancer)
- L4의 Load Balance 서비스라고 생각
- 서버에 사용량과 접속자가 많은 경우에 트래픽에 대한 부하분산을 통해 네트워크 트래픽을 인스턴스로 전달
AWS 서버 구성 P.22
서버
- 특화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설계된 컴퓨터
- 성능이 낮은 시스템도 서버로 사용할 수 있음 # 우리가 실습할 aws도 높은 사양의 서비스를 구축할 것은 아님. 그러나 거의 대부분 높은 성능을 요구 되긴 한다.
- 보통 일반 컴퓨터보다 고성능/고용량/고가용성이 요구됨 - 가격이 높음
- 서버용 OS 설치 : Unix, Linux, Windows Server
스토리지
- 데이터를 저장/사용/검색/삭제 할 수 있는 공간
- 물리적인 동작 방식에 따라 분류
- 자기 디스크 기반의 하드디스크
- 메모리 기반의 SSD
- 스토리지 성능 및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RAID 등을 사용
보안과 방화벽
보안
- 안전한 상태를 지키는 것
- 각종 위험으로부터 정보 및 데이터를 보호
- AWS 내의 다양한 보안 관련 서비스
- AWS IAM
- AWS GuardDuty
- AWS Shield : DDoS 보호 (DoS :서비스 거부 공격, DDoS: 분산 서비스 공격 -> 트래픽이 몰리게 되는)
- AWS WAF : Web Application firewall 응용계층 방화벽을 또 갖출 수 있다.
방화벽
- firewall : 외부에서 내부의 침입을 막기 위한 차단막 (화재로부터 격리하기 위한 물리적인 장치)
-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된 포인트에서 내부 네트워크로 불법적인 침입을 보호, 인프라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게~
- 기본적인 침입 차단 및 침투 지연 효솨
- AWS의 기본적인 방화벽 서비스 : Amazon Security Group
AWS 기본 용어
리전 ( 가용영역보다 더 큰 단위)
- 전 세계에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구축된 AWS 서비스 지역의 분류
- 가장 가까운 위치에 리전을 사용하여 빠른 속도로 서비스 이용
- 필요에 따라 다른 리전을 선택 가능
- 우리나라에도 리전이 오픈됨 (서울, ap-northest-2)
- 리전 별로 지원되는 기능이 다를 수 있음 # 미국이 가장 빠르게 반영이 될 것이다.
가용 영역(Availability Zone)
- 데이터센터를 의미를 한다
- 하나의 리전의 다수의 가용 영역이 존재함
- 각 가용 영역이 위치한 데이터센터는 리전 내에서 물리적으로 떨어져있음
- 현재 우리나라의 서울리전으니 4개의 가용영역으로 구성됨
엣지 로케이션(Edge Location)
- CDN(Content Delivery Network)를 위한 캐시 서버
- AWS CloudFront를 위하여 사용됨
'DevOps > 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AWS] 윈도우 원격 데스크톱과 putty, XShell로 인스턴스 접속하기 (0) | 2021.08.31 |
---|---|
[AWS] EC2와 EBS를 이용해서 서버 만들기 (EC2 인스턴스) (0) | 2021.08.31 |
[AWS] 윈도우 호스트 서버와 AWS 폴더 연동 (백업) (0) | 2021.08.31 |
[AWS] S3스토리지에 파일 업로드 및 삭제 (0) | 2021.08.31 |
[AWS] AMI (0) | 2021.08.3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