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HCP 서비스
# 시스템의 IP 게이트웨이, 넷마스크, DNS 서버 네가지가 기본적으로 세팅이 되어야지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하다. 이러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 값을 자동으로 설정해주는 것이 DHCP 서비스이다. 컴퓨터를 껐다가 키면 자동으로 설정을 해준다.
# 우리 시스템이 Broadcast를 날린다음 DHCP 서버로부터 IP 넷마스크 DNS 정보를 받아와서 자동으로 세팅을 한다.
# 즉, 컴퓨터가 부팅을 할 때 자동으로 IP, 서브넷마스크, 게이트웨이, DNS 서버를 할당
# 한정된 IP를 유용하게 사용한다
# 네트워크를 잘 모르는 사람도 쉡게 네트워크를 세팅하고 인터넷을 할 수 있게 해준다.
DHCP 실습
# 윈도우 서버에서 Linux 서버에 핑이 가는지 확인을 한다.
# 원활한 실습을 위해 DHCP 설정을 모두 비활성화 한다.
# VirtualBox의 기본 DHCP서버 비활성화와 더불어 NAT 네트워크의 DHCP도 OFF한다
# 이후 윈도우 운영체제 VM과 VirtualBox를 재부팅 시켜보자
# 윈도우 cmd 에서 ipconfig를 하게되면 DHCP를 껏음에도 불구하고 아이피가 남아있다.
# 아래 명령어들을 실행
ipconfig /release
ipconfig /renew
DHCP 서버 구축
# Linux에서 dhcp 서비스를 install 한다
yum -y install dhcp
# 이후 아래의 명령어를 통해 dnsmasq가 켜져있는지 확인을 한다.
ps -ef | grep dnsmasq
nobody 1785 1 0 15:51 ? 00:00:00 /usr/sbin/dnsmasq --conf-file=/var/lib/libvirt/dnsmasq/default.conf --leasefile-ro --dhcp-script=/usr/libexec/libvirt_leaseshelper
root 1786 1785 0 15:51 ? 00:00:00 /usr/sbin/dnsmasq --conf-file=/var/lib/libvirt/dnsmasq/default.conf --leasefile-ro --dhcp-script=/usr/libexec/libvirt_leaseshelper
root 2630 2530 0 16:19 pts/1 00:00:00 grep --color=auto dnsmasq
# dnsmasq는 DHCP 서버를 지원하는 데몬이기 때문에 실습과 충돌이 있을 수 있으므로 종료 후 disable
kill -9 1785
systemctl disable dnsmasq
# DHCP 세팅을 NATNetwork로 세팅을 하자
# 아래 명령어를 통해 vi 편집기로 세팅을 하자
vi /etc/dhcp/dhcpd.conf
마지막줄에 추가
ddns-update-style interim;
subnet 10.0.2.0 netmask 255.255.255.0 {
option routers 10.0.2.1;
option subnetmask 255.255.255.0;
range dynamic-bootp 10.0.2.100 10.0.2.150;
option domain-name-servers 8.8.8.8;
default-lease-time 10000;
max-lease-time 50000;
}
ddns-update-style interim;
subnet 10.0.2.0 netmask 255.255.255.0 {
option routers 10.0.2.1;
option subnet-mask 255.255.255.0;
range dynamic-bootp 10.0.2.100 10.0.2.150;
option domain-name-servers 8.8.8.8;
default-lease-time 10000;
max-lease-time 50000;
}
# interim이라는 옵션으로 세팅
# 10.0.2.1 은 게이트웨이 설정
# 서브넷 마스크는 255.255.255.0 으로 설정
# range는 빌려줄 아이피 대역 100~150 사이의 아이피를 빌려준다는 의미이며 저 사이에서 IP 세팅이 이루어짐
# DNS 서버는 8.8.8.8로 세팅이 됨
# 기본 임대 시간은 10000초동안 임대해 준다는 의미이며 그 이후에는 임대를 새로 갱신
# 최대 50000초 가지 세팅을 할 수 있다. 50000초 이후에는 더이상 새로운 갱신이 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.
firewall-cmd --permanent --add-service=dhcp
firewall-cmd --permanent --add-service=dhcpv6
firewall-cmd --reload
# 이렇게 진행하게 되면 IP의 세팅이 바뀌어 있다.
'DevOps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LVM 생성 및 기존 파일시스템 증설 (0) | 2023.08.20 |
---|---|
[Linux] Failed to download metadata for repo 'appstream' (0) | 2023.08.19 |
[Linux] Linux SAMBA 실습 - 2 (0) | 2021.08.26 |
[Linux] Linux SAMBA 실습 - 1 (0) | 2021.08.26 |
[Linux] Linux SAMBA (0) | 2021.08.2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