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NS 레코드란
DNS 서버에 특정 작업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다른 문자열을 의미한다. DNS레코드는 권한있는 DNS 서버에 있는 지침으로서 해당 도메인과 연결된 IP 주소 및 해당 도메인에 대한 요청을 처리하는 방법을 포함하여 도메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. 모든 DNS레코드에는 TTL (Time-to-Live)도 있으며 DNS 서버가 해당 레코드를 새로 고치는 빈도를 나타낸다.
DNS 레코드 종류와 역할
레코드 종류 | 의미 |
A | 특정 호스트의 주소 (IPv4) , 도메인을 가지고 IP를 알아냄 |
AAAA | 특정 호스트의 주소 (IPv6) , 도메인을 가지고 IP를 알아냄 |
CNAME | 별칭 레코드 정보 |
MX | 메일 교환기에 대한 정보 (Mail Exchanger) |
NS | 도메인의 네임 서버 정보 (Name Server) |
SOA | 영역의 권한 시작 정보 (Start of Authority), DNS의 여러가지 설정값, 한시간마다 갱신과 같은~ |
TXT |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텍스트 문자열 |
PTR | IP를 가지고 도메인을 알아낸다. 즉 DNS의 반대 역할도 한다. |
nslookup
> www.naver.com
Server: 8.8.8.8
Address: 8.8.8.8#53
Non-authoritative answer:
www.naver.com canonical name = www.naver.com.nheos.com.
www.naver.com.nheos.com canonical name = www.naver.com.edgekey.net.
www.naver.com.edgekey.net canonical name = e6030.a.akamaiedge.net.
Name: e6030.a.akamaiedge.net
Address: 23.50.3.12
www.naver.com.heos.com. 이 CNAME 즉 별칭 레코드를 의미한다.
'DevOps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SELinux (0) | 2021.08.24 |
---|---|
[Linux] Linux 데이터베이스 기초 (0) | 2021.08.24 |
[Linux] DNS 서버 만들기 실습 (0) | 2021.08.23 |
[Linux] DNS (0) | 2021.08.23 |
[Linux] Linux 명령어 grep (0) | 2021.08.10 |